인사이트 카드 작성 가이드
인사이트 카드 작성 예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한 GCF 인증 시스템
인상 깊은 문장을 적어봅시다.
“기존 국제 기구들은 직접 개발 도상국 내 침투해 사업을 기획하고 관리해 왔는데, 개발 도상국 측은 이러한 접근이 사업을 발굴하고 실행하는 주체적인 권리를 저해한다는 비판을 제기해 왔다. 이에 GCF는 인증 시스템을 도입해, 개발도상국 현지 기관들이 자체 사업을 진행하되 해당 활동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개발 도상국의 정부 부처나 금융 기관들이 GCF의 자금으로 자국 내 온실가스를 감축하거나 자연재해에 대응할 인프라를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이 생긴 것이다.” (64p)
이 문장을 통해 어떤 생각을 했나요?
현재 발전하는 단계에서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이 인증받기 위한 기준이 택소노미에서 제시하는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또한 아프리카 같은 국가들이 친환경적인 설비와 절차를 마련할 기술이 될까 싶고, 선진국에서 도와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했다.
나누고 싶은 질문이 있나요?
개발도상국이 인증받기 위한 기준을 택소노미에서 제시하는 내용과 수치으로 하는 것이 괜찮을까?
이 질문에 스스로 답변해볼까요?
기준을 빡빡하게 세우기 보단, 포용적으로 마련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개발도상국의 능력치상 완벽한 기술을 마련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다. 기준을 빡빡하게 세운다면 GCF 인증 시스템은 의미가 없을 것이다. 선진국에서 기술시스템을 마련해주는 것이 훨씬 좋을 것이다.
이산화 탄소 배출량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석탄 발전을 대체하기 위한 원자력을 EU 택소노미에 지정하다.
인상 깊은 문장을 적어봅시다.
“향후 수소 에너지 등 원자력을 대체할 기술이 발전하고 경제성을 확보해 상용화된다면, 원자력은 고효율 석탄 발전이나 하이브리드차와 같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된다. 도리어 방사능 문제 등 심각한 환경 피해를 유발함에 따라 퇴출 대상이 될 것이다.“ (90p)
이 문장을 통해 어떤 생각을 했나요?
방사능 폐기 등 환경문제를 일으킬 것이 뻔하지만, 이산화 탄소를 줄이는 것이 더 큰 이점이라 판단하였을 것이다. 시급한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나서, 그 다음에 일어나는 문제는 그때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이었을 것이다.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나누고 싶은 질문이 있나요?
원자력을 EU 택소노미로 지정한 것이 적절한 선택이었을까?
이 질문에 스스로 답변해볼까요?
적절한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원자력으로 인한 다른 문제를 감당하기에는 벅찰 것이다.
환경을 위한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인상 깊은 문장을 적어봅시다.
“먼저 제품 생산 단계에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야 한다. 지는 2020년 방영된 OCN 드라마 <경이로운 소문>에선 폐수를 무단으로 방류하는 악덕 기업과, 이로 인해 목숨을 잃거나 치명적인 질환을 얻게 된 피해자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다른 드라마에서도 흔히 등장하는 이 레퍼토리는 주로 기업이 사업장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또는 기업이 운영하는 사업장의 경우 관리는 철저히 이뤄지지만, 제품 생산을 위해 원료를 납품받는 협력사 사업장에서 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다.“ (98p)
이 문장을 통해 어떤 생각을 했나요?
기업은 친환경 사업을 달성하고 , 국민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된다. 재미있게 봤던 경이로운 소문에서 악귀가 운영하던 기업이 무단으로 마을에 쓰레기를 놓아 그 마을에 살던 아이가 아프게 호흡곤란으로 죽어나갔던 기억이 떠올랐다. 또한 비슷한 사례로 원진 레이온 사건이 있었다. 원진레이온 회사는 일본에서 들여온 기계를 이용하여 합성섬유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 직원, 주민들의 마비와 죽음을 이끌게 하는 것을 알고, 실제로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익을 위해서 계속 공장을 가동시켰다. 심각한 피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기업의 책임감이 중요하고, 정부가 얼마만큼 잘 감시하는 지가 친환경사업의 포인트일 것이다.
나누고 싶은 질문이 있나요?
기업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발생했다면 그것은 기업의 문제일까? 정부의 문제일까?
이 질문에 스스로 답변해볼까요?
기업의 책임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올바른 윤리의식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