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영화 이름 : 잠
•
장르 : 미스터리, 스릴러, 공포, 서스펜스
•
감독 : 유재선
•
작가 : 유재선
•
주연 : 정유미, 이선균 外
•
개봉일 : 2023년 9월 6일
리뷰
공포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일깨운다. 공포를 느끼지 못하는 존재는 없다. 공포는 이해할 수 없는 사람, 상황에 대한 무의식적인 두려운 감정이다. 공포 영화(호러)는 공포라는 감정을 관객들에게 어떻게 납득시키는지에 따라 그 흥망이 결정된다. 유재선 감독의 2023년 첫 장편영화인 <잠>은 일반적인 공포의 도식을 비틀었으나 공포라는 감정은 전달되는 수작이다. 공포 영화를 도식화하는 문법을 따르지 않고 분위기, 대화, 상황만으로 공포감을 자아낸다. 동시에 캐릭터는 시대와 맞닿아 생동하고, <잠>의 캐릭터는 사회에서 탈락한 비정상성에 근거해 공포를 전달한다.
주인공은 특정한 상황, 대상을 만나 공포를 느껴 문제를 해결하거나 도망치며, 그 과정에서 우리는 공포를 느끼는 캐릭터에 공감한다. 그는 공포를 경험할 뿐 반대로 공포의 주체가 되진 않는다. <잠>은 두 인물 공포를 느끼는 존재이자 공포를 전달하는 대상이다. 주체와 대상의 연결성은, 우리는 공포를 느끼지만 동시에 공포를 줄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그렇다면, <잠>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바로 정유미가 연기한 수진이다. 공포를 경험한 이는 다시 공포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단면, 공포 사회를 은유하는 건 아닐까.
현수(이선균)는 과도한 몽유병을 앓는다. 수진은 임산부로 한 생명을 품고 있기에 두 생명은 밤마다 현수에게 공포를 느낀다. 바로 옆에서 자는, 사랑하는 이가 언제든 공포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두려움은 히스테릭하다. 동시에 창문으로 뛰어들며 생명을 잃을 수 있다는 아이러니함은 수진을 도망칠 수도 없는 그렇다고 온전히 품을 수 없는 진퇴양난으로 몰아세운다. ‘우리는 가족이기에 떨어질 수 없어’, ‘우린 서로를 책임져야 해’라는 가족주의적 메시지 앞에 수진의 자아는 붕괴한다. 이는 이 시대의 가족주의를 단면을 보이는 듯하다.
매번 단역배우로 자신으로 살지 못하고 타인을 흉내 내야 했던 현수는 실패의 삶에서 모순이 침투된다. 자기로 살지 못한 존재는 그 실패와 고통이 응축되어 무의식은 표출된다. 낮과 밤이 달라지는 몽유병은 이를 은유한 게 아닐까. 대한민국은 수많은 현수가 살고 있다. 이에 남편을 품었어야 했던 아내인 수진은 그 상처가 전염된다. 망상, 조현병으로 이어져 수진은 산모우울증을 넘어 심각한 정신질환에 이른다. 영화는 가족 공동체 외 다른 공동체를 보여주지 않는다. 오히려 수진의 엄마는 공동체라기보다는 수진의 복제품에 가까운데, 수진은 가족을 신뢰하는 게 아니라 가족밖에 믿을 수가 없다. 이마저 탈락할 거라는 몸부림마저 공포로 다가온다.
현수와 수진은 우리네 삶이다. 가족은 서로 공포를 느끼며 살아간다. 21세기,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해체되었으나 이제는 두 명의 가족 구성원마저 해체된다. 병은 우리를 집어삼키고 일상은 되돌아가기 어려운 옛 과거다. 현수가 살기 위해서는 다시 연기해야 한다. 가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럴듯한 모습을 흉내 내야 한다. 처참히 망가진 수진과 이를 포기할 수 없는 현수는 우리에게 공포감을 선물한다. 현수는 잠에서 깨 회복되지만, 수진은 다시 잠에 들어 망상에 이른다. 일상에 탈락한 비정상적인 수진은 피해자라는 안타까움보다 공포를 전하는 주체가 된다. 그 공포는 우리도 언제나 그 집에 머물 것 같다는 느낌, 나도 현수와 수진의 삶으로 향할 수도 있겠다는 여운이 강하게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