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카드 작성 가이드
인사이트 카드 작성 예시
우리가 스스로 내쫓아버린 서울의 묘지
일제의 묘지 개혁은 많은 비판을 받기는 했지만, 형식적으로나마 묘지에 대한 전통적 태도를 인지하고 존중했다. 그들도 오랫동안 이 땅에 새겨진 산 자들과 죽은 자들의 관계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해방 이후 이뤄진 묘지 개혁은 그러한 고려가 거의 없었다. (pg. 83)
시대의 풍파를 겪으면서 서울의 모습도 많이 변하였고 서울 내 묘지도 그만큼 멀어지게 되었지만, 지금처럼 멀어지게 된 일이 그리 오래된 게 아니라는 점이 놀라웠다. 죽음과 멀어진 지금의 서울을 만든 것은 결국 우리였던 것인가 하는 씁쓸한 마음이 들었다.
일제조차 어느 정도 인정을 해준 묘지가 해방 이후 이 정도로 먼 장소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해방 이후 한국전쟁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다. 또한, 전쟁 이후에도 긴 독재 정권으로 권력자들의 입맛대로 우리의 의사와 상관없이 도시 개혁이 진행된 점도 들 수 있다.
(제목 요약)
“주변에 그렇게 많이 (자살률이) 1위라는데, 없어요. 유가족이 없어요. 그래서 나만 있는 것 같아요.” (pg. 101)
자살은 죽은 사람에게도 비극이지만 남아 있는 사람에게는 더 큰 비극이다. 자살률 1위인 우리나라에서 자살에 대해 서로 공감하고 치유할 수 있는 공간, 사람들이 없는 것은 어불성설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