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home
기업 소개
home
📕

1기 [1회차] 뉴스, 토크하다

책 소개

뉴스가 재미있을 수는 없을까?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많은 대선 후보들이 유튜브 채널을 택했다. ‘삼프로TV-경제의신과함께’의 대선 후보 특집은 그야말로 히트를 쳤다. 시청자들이 기존 뉴스에서는 체감할 수 없던 생동감을 느낀 것이다. 스트리밍, 댓글 참여 등 OTT의 문법이 뉴스를 바꿔놓고 있다. 그리고 변화의 중심엔 ‘대화(Talk)’가 있다.
손석희의 인터뷰와 홍준표-유시민의 100분 토론까지. 시청자들이 말로 가득 찬 뉴스에 큰 호응을 보내 온 이유는 무엇일까? 쉼 없이 말로 채우는 뉴스에는 팩트 너머의 관점이 담기기 때문이다. 토크 뉴스 트렌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언론 불신의 시대, 토크 뉴스는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을까? 새롭지만 낯설지 않은 토크 뉴스의 세계로 초대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진행 이유

북 저널리즘의 마인드로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모인 북새틈의 첫 활동으로 ‘저널리즘’ 자체부터 시작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현재 열광하는 뉴스의 형식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보고 이야기를 나눠봅시다!

저자 소개

엄기영은 20년 차 기자로 국민일보를 거쳐 문화방송(MBC)에 재직 중이다. 정치부, 사회부, 국제부 등에서 취재를 하면서 정당 반장, 사건 팀장 등을 했다. MBC[100분 토론], [대통령 선거방송] 등 시사 프로그램 제작도 경험했다.
재미있고 의미 있는 정치 토론을 기획하고, TV와 OTT에서 다양하게 콜라보하는 일에 관심이 많다. 한양대에서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미국에 네바다주립대UNR 저널리즘스쿨에서 방문연구원(visiting scholar)으로 있으면서 「뉴스, 토크하다」를 집필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프롤로그 ; 토크 뉴스의 시대
1 _ OTT 스트리밍과 토크 뉴스
대통령 선거와 토크 뉴스
스트레이트, 리포트를 넘어
사람들은 팩트 플러스를 원한다
토크 뉴스는 OTT에서 강하다
2 _ 토크 뉴스의 조건
토크 뉴스의 세 가지 맛
최고의 토크 뉴스 ; 홍준표 vs 유시민 100분토론
토크 뉴스의 스타들 ; 손석희, 김어준, 김현정
TV에 심어진 토크 뉴스 DNA
3 _ 토크 뉴스 성공의 비밀
TV와 라디오, OTT의 전략적 동반
뉴스 경쟁과 미디어 경제
정치와 예능의 결합
유튜브 토크 뉴스, 새로운 신드롬
4 _ 미국의 토크 뉴스
정치 토론 1번지의 역사
뉴스쇼와 앵커들
정치 풍자 토크 쇼
토크 뉴스의 문제점
5 _ 토크 뉴스가 가져올 변화와 미래
두 개의 스타일, 두 가지 시청자
이름이 걸린 뉴스 ; 앵커 중심의 차별화
라이브 토크 ; 전문성의 강화
에필로그 ; 말 많은 뉴스를 찾아서
에필로그1 ; 말 많은 뉴스를 찾아서
에필로그2 ; 윤기웅 교수의 편지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뉴스가 말을 걸어 올 때

모더레이터(박해명)의 서평

우리는 지금 토크 뉴스 시대에 살고 있다.
토크 뉴스는 새롭고 쓸모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뉴스와 사람 간의 대화를 의미하는 토크가 결합된 용어다. 즉, 진행자와 출연자가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대중이 관심 있어 하는 이슈를 전달하고, 의견과 관점을 담아 분석하는 뉴스 형식이다.
정치예능이나 정치 토크쇼, 시사토크쇼와 같은 이름의 JTBC <썰전>, TV조선 <강적들>과 같은 프로그램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한국의 미디어 환경에서 트렌드인 토크뉴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한국의 뉴스 생태계를 살펴보고, 흐름을 함께 읽어보자.